행렬
- m, n이 양의 정수일 때, 다음과 같이 m개의 행과 n개의 열로 구성된 직사각형의 배열 A를 행렬(matrix)이라고 한다.
영행렬
- 모든 원소가 0
행렬의 합, 차, 스칼라 곱
- 행렬의 합: 같은 위치의 A와 B의 원소를 더해서 구해지는 행렬
- 행렬의 차: 같은 위치의 A와 B의 원소를 빼서 구해지는 행렬
- 스칼라 곱: 행렬의 모든 원소에 스칼라를 곱한 행렬
- 행렬의 합과 스칼라 곱은 실수의 연산과 유사한 성질(교환법칙, 결합법칙, 분배법칙 등)을 가지고 있다.
행렬의 곱
-
A가 행렬이고 B가 행렬일 때, A와 B의 곱은 행렬 C로 정의된다.
-
정의에 따라 행렬 A의 열의 개수와 B의 행의 개수가 같을 때에만 행렬의 곱 AB를 계산할 수 있다.
-
두 행렬의 곱의 크기는 (A의 행의 개수) x (B의 열의 개수)이다.
-
AB = C일 때, C의 원소는 A의 i번째 행과 B의 j열의 원소들을 서로 곱하고 그 곱한 결과들을 모두 합쳐서 구할 수 있다.
- AB곱의 원소는 A의 i번째 행과 B의 j번째 열의 내적이다.
-
- 행렬의 곱은 교환법칙이 성립하지 않는다.
-
일반적으로 AB ≠ BA
-
실수의 곱셈은 곱셈의 결과가 0이라면 곱셈에 참여하는 실수 중 반드시 하나는 0이어야 하지만, 행렬곱에서는 행렬곱에 참여하는 행렬이 모두 영행렬이 아니더라도 그 결과가 영행렬이 되는 경우도 있다.
행렬곱의 연산법칙
- 곱의 결합법칙:
- 곱의 분배법칙:
- 곱의 분배법칙:
가우스 소거법
- 행렬은 일차연립방정식의 풀이에 사용됨.
-
A: 계수행렬
- 위에서 왼쪽의 3x3 행렬은 계수행렬이라고 함
-
X: 미지수 행렬
- (x,y,z)를 해(solution)
-
B: 상수행렬
- (-3,4,6)을 상수행렬이라고 함
-
: 확대행렬
- 이 행렬을 확대행렬(augmented matrix)이라고 함
- 계수행렬과 상수행렬을 다음과 같이 묶어서 하나의 행렬로 만들 수 있다.
기본행연산
- 행 교환 연산
- 두 행을 서로 교환하는 연산
- 행 스케일링 연산
- 하나의 행에 0이 아닌 스칼라를 곱하는 연산
- 행 대체 연산
- 한 행에 스칼라 곱을 해서 다른 행에 더하는 연산
일차연립방정식과 행렬의 관계
- : 일차연립방정식
- A: 의 확대행렬
- B: 의 확대행렬
-
- 물결: 행렬 A에 기본행연산(3개 중에 하나)을 적용하여 B를 얻을 수 있음
행제형 행렬
-
아래 3가지 조건을 만족하는 행렬을 행사다리꼴(행제형)이라고 한다.
- 영행이 아닌 행은 영행의 위에 있다.
- 영행이 아닌 행의 첫 번째 0이 아닌 원소를 그 행의 선도원소라 하는데, 모든 선도원소는 1이다.
- 주어진 행의 선도원소는 그 아래의 행의 선도원소보다 왼쪽에 있다.
-
소거 행제형 행렬
- 위 조건에 더불어 + 선도원소가 포함된 열에서 선도원소를 제외한 모든 원소는 0이다.
-
행렬의 종류
정방행렬
- 행의 수, 열의 수가 같은 행렬을 n차 정방행렬 이라고 함.
- n: 정방행렬의 차수(order)
- 정방행렬의 원소를 대각원소(diagonal element)라고 함.
- 대각원소를 포함하는 대각선을 주대각선(main diagonal)이라고 함.
대각행렬(Diagonal Matrix)
- n차 정방행렬에서 대각원소 이외의 모든 원소가 0인 행렬
단위행렬(Unit Matrix)
- n차 정방행렬에서 대각원소가 모두 1이고 나머지 원소는 모두 0인 행렬을 n차 단위행렬이라 함. 기호로는 로 나타냄.
- 단위행렬이면 대각행렬이기도 함.
대칭행렬(Symmetric Matrix)
- n차 정방행렬에서 인 행렬을 대칭행렬이라 한다.
비대칭행렬(skew symmetric matrix)
- n차 정방행렬에서 이고 대각원소가 모두 0인 행렬
삼각행렬(Triangular Matrix)
-
상삼각행렬: n차 정방행렬에서 주대각선 아래에 있는 모든 원소들이 0일 경우
-
-
하삼각행렬: n차 정방행렬에서 주대각선 위에 있는 모든 원소들이 0일 경우
-
-
상삼각행렬이나 하삼각행렬을 삼각행렬이라고 부른다.
전치행렬(transpose matrix)
- 크기의 행렬 A가 주어졌을 때, A의 행과 열을 서로 교환한 행렬을 A의 전치행렬이라고 한다.
- 기호로는 로 나타낸다.
- 행과 열이 교환되어 있기 때문에 는 크기의 행렬이 된다.
역행렬(Inverse Matrix)
-
n차 정방행렬 A, B가 주어졌을 때 인 행렬 B가 존재하는 경우 행렬 A를 역가능하다고 하고, B를 A의 역행렬이라고 한다.
-
기호로는 로 나타낸다.
-
행렬 A와 역행렬 A의 곱은 항상 단위행렬이 된다.
-
예) 다음 행렬 A의 역행렬 구하기
-
라고 하자. 그러면 이 된다.
-
-
-
-
-
위의 4개의 연립방정식을 풀면 가 된다.
부울행렬
- 행렬의 모든 원소가 0 또는 1인 행렬
부울행렬의 합
- 행렬 가 부울행렬일 때
- A와 B의 크기가 서로 같을 경우 A와 B의 합은 (i, j)원소가 인 부울행렬이며, 로 나타낸다.
부울행렬의 교차
- 행렬 가 부울행렬일 때
- A와 B의 크기가 서로 같을 경우 A와 B의 교차는 (i, j)원소가 인 부울행렬이며, 로 나타낸다.
부울행렬의 곱
- 크기의 행렬 와 크기의 행렬 의 부울곱은 (i,j) 원소 가 다음과 같이 정의되는 크기의 부울행렬
- 로 나타낸다.
- A의 열의 크기, B의 행의 크기가 같을 때에만 부울곱을 계산할 수 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