이산수학 - 함수

함수

함수

  • 집합 X와 Y가 주어졌을 때, X에서 Y로의 함수 f는 X의 모든 원소가 각각 Y의 오직 하나의 원소와 대응되는 관계이고, f:XYf: X \rightarrow Y로 표기한다.

    • X: 함수 f의 정의역(domain)
    • Y: 함수 f의 공역(codomain)
    • 함수 f에 의해 정의역의 원소 x가 공역의 원소 y와 대응하는 것을 xfy,(x,y)fxfy, (x,y) \in f 또는 f(x)=yf(x) = y로 표기한다.
      • y를 x에 대한 상(image)이라고 한다.
    • 정의역 X의 원소 x에 대한 모든 상의 집합 {f(x)xX}\{f(x)|x \in X\}치역(range)이라고 한다.
      • 치역은 공역의 부분집합임[]
    • x를 y의 역상(preimage)이라고 한다.
  • 집합 X에서 Y로의 관계 fX×Yf \subseteq X \times Y가 함수가 되기 위한 조건

    • xX,!yY,f(x)=y\forall x \in X, !\exists y \in Y, f(x) = y
      • (∃!: 존재하고 유일하다. ∃: 존재한다. !: 유일하다.)
      • 정의역의 모든 원소가 공역의 원소에 각각 하나씩 대응해야 한다는 것
    • xX,!yY∀x ∈ X, ∃!y ∈ Y : 어떤 xXx ∈ X에 대해, 그에 대응되는 yYy ∈ Y가 정확히 하나 존재한다.

상수 함수

  • f:XY,xX,f(x)=cf: X \rightarrow Y, \forall x \in X, f(x) = c
  • 정의역의 값에 관계없이 항상 동일한 값이 나오는 함수
    • 예) f(x) = 1

항등 함수

  • f:XX,xX,f(x)=xf: X \rightarrow X, \forall x \in X, f(x) = x
  • 어떠한 값을 입력하든 항상 그대로의 값이 나오는 함수

제곱 함수

  • f:RRf: \mathbb{R} \rightarrow \mathbb{R}은 x에 대해 f(x)=x2f(x) = x^2로 정의되는 함수
  • f의 출력값은 항상 입력값의 제곱을 출력

함수의 상등

  • 정의역과 공역이 같도 정의역의 임이의 원소 x에 대해 f(x) = g(x)의 값이 같을 때, 두 함수 f와 g는 서로 상등하다고 함

    • 동일한 입력값에 대해 두 함수가 동일한 출력값을 낸다는 것을 의미함
  • f = g 는 언제 같다고 할 수 있을까?

  • f:XY,g:XYf: X \rightarrow Y, g: X \rightarrow Y가 함수일 때 (정의역: X, 공역: Y)

    • X=A,Y=BX = A, Y = B (정의역끼리 같아야하고, 공역끼리 같아야함)

    • xX,f(x)=g(x)\forall x \in X, f(x) = g(x)

    • f와 g는 상등하다 (서로 같다.)


전사함수(surjective function, onto function)

전사함수

  • 공역과 치역이 일치하는 함수

  • 함수 f:XYf: X \rightarrow Y가 전사함수(surjective)일 때, Y의 모든 원소가 X의 원소에 의해 대응된다.

    • yY,xX,f(x)=y\Leftrightarrow \forall y \in Y, \exists x \in X, f(x) = y
    • f(X)=Yf(X) = Y
    • ff의 치역이 YY와 같다.

단사함수 (injective function, one to one function)

단사함수

  • 정의역에 있는 모든 원소가 서로 다른 상을 갖는 함수

  • 치역의 임의의 원소 y에 대응하는 정의역의 원소가 하나뿐일 경우

    • 동일한 상을 가지는 정의역의 원소가 없다는 것
  • 하나당 한개씩

  • 함수 f:XYf: X \rightarrow Y가 단사함수(injective function)

    • x1,x2X,f(x1)=f(x2)x1=x2\forall x_1, \forall x_2 \in X, f(x_1) = f(x_2) \Rightarrow x_1 = x_2
      • 같은 값을 가지면 원래 입력도 같다.
    • x1,x2X,x1x2f(x1)f(x2)\forall x_1, \forall x_2 \in X, x_1 \neq x_2 \Rightarrow f(x_1) \neq f(x_2)
      • 입력이 다르면 출력도 다르다.
    • f(x1)=f(x2)x1=x2f(x_1) = f(x_2) \Rightarrow x_1 = x_2 이것과 x1x2f(x1)f(x2)x_1 \neq x_2 \Rightarrow f(x_1) \neq f(x_2)은 서로 대우 관계이다.
  • one to one 함수

전단사함수(bijective function, one to one correspondence function)

전단사함수

  • 함수 f:XYf: X \rightarrow Y가 전사함수이면서 단사함수일 경우 f를 전단사함수라고 한다.
  • yY,xX,f(x)=y\forall y \in Y, \exists x \in X, f(x) = y이고, a,bX,(fa)=f(b)\forall a, \forall b \in X, (fa) = f(b)일 경우 a=ba = b이다.
  • 전단사함수가 있다면 그것의 역함수도 존재하고, 역함수도 전단사함수이다.

함수의 합과 스칼라 곱의 연산법칙

  • 함수의 합과 스칼라 곱은 실수의 연산과 유사한 성질을 가지고 있다.
  • 함수의 함과 스칼라 곱은 함수 f,g,hf, g, h에 대해 다음과 같은 연산 법칙들을 만족한다(단, a, b는 실수이다)
연산 법칙
합의 교환법칙f+g=g+ff + g = g + f
합의 결합법칙f+(g+h)=(f+g)+hf + (g + h) = (f + g) + h
합의 항등원 존재(0은 영함수)f+0=ff + 0 = f
합의 역원 존재(gfg \equiv -f)f+(f)=0f + (-f) = 0
스칼라 곱의 결합법칙a(bf)=(ab)fa(bf) = (ab)f
스칼라 곱의 분배법칙(a+b)f=af+ag(a+b)f = af + ag
스칼라 곱의 분배법칙a(f+g)=af+aga(f + g) = af + ag

역함수

역함수

  • 함수 f:XYf: X \rightarrow Y가 전단사함수 일 때, ff의 역관계 f1f^{-1}ff의 역함수라고 한다.
  • 정의: xX,yY,f(x)=y\forall x \in X, \forall y \in Y, f(x) = y일 때, (f1)1=f(f^{-1})^{-1} = f
  • 역관계란 함수가 수행한 일을 원래대로 되돌리는 역할을 수행하는 관계로서, f의 결과값을 넣으면 원래의 입력값이 나오는 관계이다.
    • 단, 역관계는 때떄로 함수가 아닐 수 있다.
  • 함수가 전단사함수일 경우 역관계도 함수가 되며, 이러한 역관계를 역함수라 한다.
  • 역함수가 존재하는 함수를 가역적이라고 한다.
    • 함수 f가 가역적이면 역함수가 존재하고, f(a)=bf(a) = b라면 f1(b)=af^{-1}(b) = a가 된다.

합성함수

  • 두 함수
  • X,Y,Y,ZX, Y, Y\prime, Z집합, YYY\prime \in Y (YY\prime: Y 집합의 부분집합이라는 의미)
    • 두 함수 f:XYf: X \rightarrow Y\primeg:YZg: Y \rightarrow Z에 대해 다음과 같이 정의되는 함수
      • gf:XZg \circ f: X \rightarrow Zffgg의 합성함수(composite function)라고 한다.
        • gfg \circ f은 합성함수를 의미한다. 즉 함수 f를 먼저 적용하고 그 결과에 함수 g를 적용하는 것
    • xX,(gf)(x)g(f(x))\forall x \in X, (g \circ f)(x) \equiv g(f(x))

전사함수의 합성함수

  • 두 함수 fY,g:YZf \rightarrow Y, g: Y \rightarrow Z가 전사함수일 때, gf:XZ\Rightarrow g \circ f: X \rightarrow Z도 전사함수이다.

단사함수의 합성함수

  • 두 함수 f:XY,g:YZf: X \rightarrow Y, g: Y \rightarrow Z가 단사함수일 때, gf:XZ\Rightarrow g \circ f: X \rightarrow Z도 단사함수이다.

함수 곱의 연산법칙

  • 함수 f:XY,g:YZ,h:ZWf: X \rightarrow Y, g: Y \rightarrow Z, h: Z \rightarrow W에 대하여, 합성함수는 다음과 같은 연산법칙을 만족한다. (단 I는 합성함수이다.)
  1. 곱의 결합법칙 - f(gh)=(fg)hf \circ (g \circ h) = (f \circ g) \circ h
  2. 곱의 항등원 - If=fI=fI \circ f = f \circ I = f
  3. 곱의 역원 - ff1=f1f=If \circ f^{-1} = f^{-1} \circ f = I
  • 행렬 곱에서 교환법칙이 성립하지 않는 것처럼, 합성함수는 일종의 함수라는 새로운 수에 대한 곱셈이라고 생각하면 좋음

    • 함수는 곱에 대한 교환법칙이 성립하지 않는다.
    • fggff \circ g \neq g \circ f

항등함수와 합성함수

  • 함수: f:XYf: X \rightarrow Y

  • 항등함수: Ix:XXI_x: X \rightarrow X

  • 항등함수: Iy:YYI_y: Y \rightarrow Y

    • f=fIx=Iyff = f \circ I_x = I_y \circ f
    • 행렬과 비교해보기

역함수와 합성함수

  • 전단사함수 f:XYf: X \rightarrow Y
  • 전단사함수 g:YZg: Y \rightarrow Z
  • f1f=Ix,ff1=Iyf^{-1} \circ f = I_x, f \circ f^{-1} = I_y
  • (gf)1=f1g1(g \circ f)^{-1} = f^{-1} \circ g^{-1}

함수의 종류

계승함수(factorial)

  • 음이 아닌 정수 n에 대해서 계승함수 n!n!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.
  • n!=k=1nk(n1)n! = \sum_{k=1}^{n} k(n \geq 1)
    • =1×2××n= 1 \times 2 \times \cdots \times n
    • =n×(n1)!= n \times (n - 1)!

바닥함수

  • 실수 x에 대해, x보다 작거나 같으면서 가장 큰 정수를 구하는 함수

  • x=max{mZmx}\lfloor x \rfloor = max\{m \in \mathbb{Z} | m \leq x\}

    • 3.5=3\lfloor 3.5 \rfloor = 3
    • 3.0=3\lfloor 3.0 \rfloor = 3

바닥함수의 성질

  • xR,x1<xx\forall x \in \mathbb{R}, x - 1 < \lfloor x \rfloor \leq x
    • 실수 x에 대해, x보다 작거나 같으면서 가장 큰 정수는 x보다 작거나 같고, x - 1보다 크다.
  • kZ,xR,k+x=k+x\forall k \in \mathbb{Z}, \forall x \in \mathbb{R}, \lfloor k + x \rfloor = k + \lfloor x \rfloor
    • 정수 k에 대해, k + x의 바닥함수는 k와 x의 바닥함수를 더한 것과 같다.
  • x의 반올림은 x+0.5\lfloor x + 0.5 \rfloor로 표현할 수 있다.

천장함수

  • 실수 x에 대해, x보다 크거나 같으면서 가장 작은 정수를 구하는 함수
  • x=min{nZxn}\lceil x \rceil = min\{n \in \mathbb{Z} | x \leq n\}
    • 2.6=3\lceil 2.6 \rceil = 3
    • 3.0=3\lceil 3.0 \rceil = 3
    • 2.6=2\lceil -2.6 \rceil = -2

천장함수의 성질

  • xR,xx<x+1\forall x \in \mathbb{R}, x \leq \lceil x \rceil < x + 1
    • 실수 x에 대해, x보다 크거나 같으면서 가장 작은 정수는 x보다 크고, x + 1보다 작다.
  • kZ,xR,k+x=k+x\forall k \in \mathbb{Z}, \forall x \in \mathbb{R}, \lceil k + x \rceil = k + \lceil x \rceil
    • 정수 k에 대해, k + x의 천장함수는 k와 x의 천장함수를 더한 것과 같다.
  • 천장함수는 x=x\lceil x \rceil = - \lfloor -x \rfloor와 같이 바닥함수와 서로 바꾸어 쓸 수 있다.

나머지 함수

  • 정수 두개를 주고 그것을 나눴을 때 나머지를 찾는 것

  • 정수 n과 양의 정수 m에 대해 n을 m으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를 구하는 함수를 나머지 함수(modulo function)[모듈로 함수/mod 함수]

    • nmodmn mod m으로 표기함
  • 두 정수 n,m(m0)n, m(m \neq 0)에 대해

    • nmodm=nmnmn mod m = n - m\lfloor \frac{n}{m} \rfloor
    • (n을 m으로 나눌 때)
  • 5mod(3)5mod(-3)

    • 5(3)535 - (-3)\lfloor \frac{5}{-3} \rfloor
    • =5(3)(2)= 5 - (-3)(-2)
    • =56= 5 - 6
    • =1= -1